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3.00% 동결
고환율에 금리 3차례 연속인하 부담
경기부진으로 다음달에 내릴 가능성 있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00%로 동결했다. 경기둔화 우려로 앞서 2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이번에는 금리를 현수준으로 유지했다. 추가 금리인하가 이미 많이 오른 원·달러 환율을 더 끌어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됐다. 미국에서 기준금리 인하 속도조절론이 나오는것도 영향을 끼쳤다. 다만 부진한 국내 경기를 살리기 위해 한은이 다음 달에는 다시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올해 첫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통방)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3.00%로 동결했다고 밝혔다. 한은 금통위는 작년 11월28일에 열렸던 직전 통방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바 있다. 앞서 10월 인하까지 고려하면 2차례 연속으로 금리를 내렸다가 이번에 동결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00%로 동결했다. 경기둔화 우려로 앞서 2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이번에는 금리를 현수준으로 유지했다. 추가 금리인하가 이미 많이 오른 원·달러 환율을 더 끌어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됐다. 미국에서 기준금리 인하 속도조절론이 나오는것도 영향을 끼쳤다. 다만 부진한 국내 경기를 살리기 위해 한은이 다음 달에는 다시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올해 첫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통방)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3.00%로 동결했다고 밝혔다. 한은 금통위는 작년 11월28일에 열렸던 직전 통방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바 있다. 앞서 10월 인하까지 고려하면 2차례 연속으로 금리를 내렸다가 이번에 동결로 돌아섰다.
다만 한은이 부진한 국내 경기를 살리기 위해 다음 달에는 기준금리 인하에 다시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들이 전망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잠재성장률인 2.0%를 밑돈다. 수출둔화와 내수부진으로 저성장이 굳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환율 부담으로 한은이 이번 달에는 기준금리를 동결했다"면서도 "경기둔화 우려를 고려해 2월 금통위에서는 금리를 다시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 출처 : 아시아경제 |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금리 안 내린다” 올 게 왔다…한국, 경제살릴 카드 안 보인다 (0) | 2025.01.31 |
---|---|
연금 개혁 논의 재개했지만 "소득 올려야"vs"미래 세대 부담 가중" (1) | 2025.01.23 |
케뱅·카뱅, 영끌족에 화끈한 규제 완화… 주담대 한도 10억원까지 푼다 (0) | 2025.01.13 |
"韓 정치 혼란 길어지면 신용등급 하락 압박" (0) | 2025.01.10 |
사망보험금, 죽기 전에 받아 노후대비로 쓴다 (0) | 2025.01.09 |